안녕하세요.
신한 금융에서 1.4%대 금리의 1,0000억 규모 ESG 채권을 발행했다는 뉴스보셨나요?
뉴스를 보면서도 ESG 채권이 뭔지를 모르니 무슨 말인가 싶더라구요.
그래서 대체 ESG 채권이란 무엇인가 알아보기로 했습니다.
정의부터 알아보시죠.
1)
ESG는 환경(Enviroment), 사회(Social), 지배구조(Goverment) 의 앞글자를 딴 것으로 기업의 재무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비재무적인 환경, 사회, 지배구조의 건전성을 기준으로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이다.
ESG기준에 부합하는 용도(환경개선, 신재생에너지, 사회문제 해결 등)의 자금을 조달하기 위한
특수목적의 채권을 ESG채권이라고 한다.
- 출처 : 다음백과, 에듀윌 시사상식 -
정의만 봐서는 무슨 뜻인지 이해가 잘 가질 않네요.
간단하게 보면 기업들의 사회적인 역할을 위한 채권 정도로 보면 되겠습니다.
ESG 채권을 발행하는 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는데요.
2) ESG 채권의 종류
그린 본드 |
친환경적인 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특수목적 채권 |
소셜 본드 |
중소 기업 지원, 일자리 창출, 취약 계층 지원, 사회 인프라 구축 등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특수목적 채권 |
지속 가능 채권 |
소셜 본드와 그린 본드가 결합된 형태로, 사회 문제해결 또는 친환경적인 사업에 필요한 자금조달을 목적으로 하는 채권 |
ESG 채권이란, 기업의 사회적인 책임을 위해 친환경적 사업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이거나, 사회 문제 해결을 목적으로하거나 두 가지 모두를
목적으로 하는 채권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.
이렇게 이해하시고 신한 금융의 ESG 채권 발행 기사를 보시면요.
금번 EGS 채권은 평균만기 4.6년이며, 평균금리는 1.4%대로 높은 대외 신인도와 우수한 자산 건전성을 기반으로 발행되는데, 금번 조달된 자금을 오는 추석연휴 중소가맹점 지급주기 단축 등 사회 공동체적 가치를 위해 활용할 예정이다.
출처 : 시사포커스(http://www.sisafocus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219379)
전문이 궁금하신 분은 출처를 클릭하셔서 시사포커스에서 기사 전문을 보시면 되겠습니다.
신한 금융이 1,000억 원대 EGS채권을 발행한 목적을 보여 드리고 싶어서 긁어왔는데요.
추석 연휴 중소가맹점 지급주기 단축 등 사회 공동체적 가치 를 목적으로 발행했다는 대목 보이실까요?
위에서 얘기한 소셜 본드적 역할을 위해 발행한 것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.
우리나라의 ESG채권은 글로벌 ESG채권에 비하면 규모와 다양성 측면에서 이제 시작하는 단계라고 볼 수 있는데요.
우리나라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ESG채권이 많이 활성화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.
오늘 ESG 채권에 대한 설명은 여기까지 입니다.
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
댓글